기본 미션) 마무리 확인문제
so ez
사실 문제 4번처럼 출력할 수 있는지 몰랐다.
이래도 soez인가?
ㅜ
그냥 알게된 것 정리
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 array[A:B:C] : A부터 B까지 C 간격으로.
print("안녕하세요"[:3]) #의 경우, 3번째 빼고 0 1 2 이렇게 출력됨.
# 조금 더 생각해보자
password = "08882625"
print(password[::]) # 08882625
print(password[2:]) # 882625
print(password[::4]) # 02
print(password[::-4]) # 58
print(password[-2::]) # 25
위와 같이..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할 때 사용하는 [:] 연산자
array[::]는 모든 값 ( 0~ 7 )
array[2:]는 2번째부터
array[::4]는 4칸 간격으로 출력
array[::-4]는 역순으로 4칸 간격으로 출력
array[-2::]는 -2번째 자리부터 끝까지 출력
""" 글자 """: 여러 문자열을 만든다. \n이 필요가 없네
문자열 연결 연산자 +
"문자열" + "문자열"
문자열은 무조건 문자열끼리 + 기호를 사용해서 연결해야 함.
숫자는 문자열과 함께 + 연산하려면 숫자 또한 ""로 묶어서 문자열로 인식시킨 후 연산한다.
선택 미션) 혼공노트 정리
선택 미션의 의미를 잘 모르겠다.혼공 용어 노트에 모르는 단어를 정리하라고 하는데.. 막상 정리할만한 공간은 없음.
그냥 새로 알게된 용어 블로그에 정리하겠다.
1. 스네이크 케이스(Snake_case): 단어 사이에 _ 기호를 붙여서 식별자를 만드는 방법
- 글자들이 뱀처럼 연결된다는 의미
- item_list, login_status, character_hp
2. 캐멀 케이스(CamelCase): 단어들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만들어 식별자로 만드는 방법
- 글자들이 낙타 같다고 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
- ItemList, LoginStatus, CharacterHp 등..
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둘 중 하나만 사용하여 식별자 이름을 지어주는데.. 파이썬은 둘 다 사용한다고 함.
보통 캐멀 케이스가 시용되는 건 "클래스"
스네이크 케이스가 사용되는 건 함수와 변수.
그러니까 나도 변수 만들 때 잘하자.^^
3. 리터럴: 값 자체를 의미. 자료, 데이터 같은 의미인 듯
이건 자바의 정석 할 때 들어본 것 같다. 리터럴..^^ 상수랑 리터럴은 다른 값이라고 하던데.. 파이썬도 그런가?
'프로그래밍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혼공학습단 8기 파이썬 4주차 (0) | 2022.07.31 |
---|---|
[파이썬] 이터레이터(iterator) (0) | 2022.07.30 |
혼공학습단 8기 파이썬 3주차 (0) | 2022.07.30 |
혼공학습단 8기 파이썬 2주차 (0) | 2022.07.16 |
혼공학습단 8기 파이썬(구판) 커리큘럼 (0) | 2022.07.01 |